티스토리 뷰

교회 헌금 연말정산 받기 가능합니다 ! 

 

교회 열심이신 믿음 좋으신 성도분들!

헌금도 드리고 연말정산으로 세액 공제도 받고 오늘은 이런 꽁먹고 알먹는 일에 대해서 함께 알아보고자 합니다.

 

 

먼저 요점부터 말하자면 교회를 다니면서 십일조와 헌금을 낸다면, 기부금 영수증을 받을 수 있습니다.

십일조는 전통적으로 수입의 10%를 교회에 기부합니다. 헌금은 선교헌금, 감사헌금, 건축헌금, 미디어 헌금 등 다양한 목적을 위해 교회에 기부하는 금액을 말합니다. 한국에서는 이런 헌금을 기부금으로 명명하여 이에 대해 세액 공제를 받을 수 있도록 제도화되어 있습니다.

우리나라에서는 다양한 기부금의 종류에 따라 영수증 발급이 가능합니다. 일반적으로 세법에 따라 종교단체에 대한 기부금은 기본적으로 세액 공제를 받을 수 있습니다. 헌금이나 기부금을 통해 세금을 줄이고 사회에 기여할 수 있는 기부금 세액공제는 정말 유용한 제도입니다. 하지만 이를 제대로 활용하려면 기본 개념과 절차를 정확히 이해하고, 꼼꼼히 관리해야 합니다.

 

출처: 네이버 (세액공제 기준)

영수증 발급 시기와 절차

 

기부금 영수증을 받기 위해서는 교회에 헌금 또는 십일조를 할 때 영수증 요청을 해야 합니다. 대부분의 교회는 연말에 기부금 영수증을 일괄적으로 발급해 줍니다. 그러나 각 교회의 상황에 따라 기부금 영수증을 신청할 경우에만 발급해 주는 교회도 있으니 가능하면 사전에 기부금 영수증 요청을 하는 것이 좋습니다. 보통 1월 초에서 중순 사이에 받을 수 있습니다.

 

 

[ 교회 헌금 연말정산에 대한 궁금증 풀기 ]

 

1. 기부금 영수증은 어디서 발급받을 수 있나요?

=> 헌금을 낸 종교단체나 기부한 비영리 단체에 요청하면 대부분 발급받을 수 있습니다. 또한 홈택스 시스템에서도 자동으로 확인할 수 있습니다.

 

2. 헌금을 가족 이름으로 낸 경우에도 공제가 가능한가요?

=> 물론 가능합니다. 부양가족이라면 공제가 가능하고, 본인 이름 외 배우자나 자녀 이름으로 한 기부도 합산해서 처리됩니다.

 

3. 기부금을 이월하는 건 어떻게 하나요?

=> 이월 처리를 위해서는 홈택스나 세무사를 통해 신고해야 됩니다.

     단, 최대 10년 이내까지만 이월이 가능하니 이를 잘 계산해두세요.

 

4. 가짜 기부 영수증은 어떻게 구별하나요?

=> 국세청 등록 단체인지를 확인하고, 영수증 확인 번호를 통해 진위를 검증할 수 있습니다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