티스토리 뷰

인도의 무인 우주 착륙선이 23일 달 남극에 내리는 데 성공했다. 인류가 만든 착륙선이 달 남극에 안착한 것은 이번이 처음이다. 달 남극에는 물이 얼음 상태로 보존돼 있어 이번 착륙이 달 개발 속도를 높일 계기가 될 것이라는 기대가 나온다.

인도우주연구기구(ISRO)는 자국의 달 탐사선 찬드라얀 3가 이날 오후 64(한국시간 오후 934)에 달 남극에 착륙했다고 발표했다.

 

인도 찬드라얀 3호, 달 착륙 성공
인도 찬드라얀 3호, 달 착륙 성공

 

찬드라얀 3호의 착륙 과정은 ISRO 유튜브 채널을 통해 전 세계에 생중계됐다. 착륙 성공이 확인되자 ISRO 관제센터를 긴장된 표정으로 지키던 연구진은 일제히 박수를 치며 환호했다. 이날 착륙 상황은 화상으로 나렌드라 모디 인도 총리도 지켜봤다. 찬드라얀 3호는 지난달 14일 발사됐고, 지난 5일 달 궤도에 진입했다. 달 궤도를 돌던 찬드라얀 3호는 추진 모듈과 착륙선인 중량 1.7t짜리 비크람이 결합된 형태였다.

이날 착륙 기동이 시작되면서 추진 모듈은 달 궤도에 남고, 비크람만 분리돼 월면으로 하강했다. 비크람은 역추진 장치를 켜고 속도를 줄이며 월면으로 내려갔고, 결국 충돌 없이 안착에 성공했다. 비크람은 중량 26짜리 무인 탐사차량 프라그얀을 자신의 동체 내부에서 월면으로 내보내며, 프라그얀은 바퀴 6개가 장착돼 초속 1의 저속으로 움직인다. 비크람에는 월면 온도와 열전도율을 측정하고 달 지진을 감지하는 기기 등이 실렸다. 프라그얀에는 달 토양과 암석에 섞인 원소를 알아내는 X선 분광계 등이 탑재됐다.

인도! 달 착륙 성공

인도 찬드라얀 3호 달 착륙 성공

인도는 달 남극에 사상 처음으로 착륙선을 안착시킨 나라가 됐다. 그동안 달에 착륙선을 안착시킨 나라는 미국과 러시아, 중국뿐이었는데, 모두 남극은 아니었다. 충돌구가 많은 남극은 지형이 고르지 않아 착륙이 까다롭다.

그런데도 인도가 달 남극 착륙을 시도한 것은 이곳에 얼음 상태의 물이 있어서다. 움푹 들어간 충돌구 안쪽에는 햇빛이 전혀 들지 않는 영구음영지역이 있는데 여기에 얼음이 존재한다.

얼음을 녹여 만든 물은 사람이 살 수 있는 자원이 된다. 물을 분해해 수소를 만들면 로켓 연료로 사용할 수 있다. 지구에서 공수하지 않고도 달 현지에서 물을 조달할 수 있는 길이 생기는 것이다.

인도의 달 남극 착륙으로 각국의 달 개발 경쟁은 더욱 뜨거워질 것으로 보인다. 현재 미국과 중국은 달에 유인 우주기지를 세우는 계획을 추진 중이다.

 

 
반응형